일본이 저지른 무역분쟁으로 우리 국민이 시작한 불매운동이 성공적으라고 연일 보도되고 있다.
그런데 초기 불매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던 일본 식민지 문화 뿌리 뽑기 운동은 조국 대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라진 것이 안타깝다.
사실 아직까지 우리의 일상 속에서 많은 용어가 아직도 일본 잔재이며 대학에 오면 대부분의 전공용어 번역어가 일본식 한자어이다.
그런데 그 보다 더 큰 문제가 있다고 필자는 본다. 그것은 바로 일제 시대 우리나라 언어가 단순화되었고 그 영향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제시대에는 한국어가 일본어를 가르치고 일본어를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소리 말만 주로 사용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어와 우리말 모두에 있는 소리는 한국인들에게는 쉬운 소리들이 주요했고 그 쉬운 것들만 주로 사용되다 보니 단순화되었다는 주장이다. 혹은 일제가 그런 방식으로 한국어를 단순화시켰다고 한다.
혹은 일제시대에서 우리말을 사용하려면 눈치가 보여 입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 몰래 이야기하다보니 이렇게 말소리가 단순화되는 방식으로 변화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에 대해 필자는 국립국어연구원은 어떤 입장인지 궁금하다.
우리 말이 단순화된 것은 안타까우나 이미 단순화된 것 어쩔 수 없으니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소리만 계속 쓰자는 것이 그 공식적 입장인가?
아님 당시 없어진 소리를 찾아내고 복원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의지가 존재하는가?
현재 우리말은 '내'와 '네'가 구분되지 않고 있어서 '네'는 '니'라고 발음하는 경향이 강하다. 아래 아 소리가 사라진 것은 옛말이고 거기에 외국어를 한국어로 옮길 때에도 소리를 제한하는 규정이 너무 많아 한국어가 더 단순화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필자의 우려이다.
필자가 이런 노파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해방 후 독재정권 하에서도 말에 의해 국민의 마음이 움직인다고 외국어에 대해서 된소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 정책을 아직도 국립국어연구원이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니 왜 우리가 홍길동도 아닌데 민주주의 국가에서 씨티City를 씨티라고 부르지 못하고 시티라고 소리내야 하는가? 왜 국가가 이것을 강요하는가?
영어 원어민들은 이 한국인들의 발음을 어떻게 비하하는지 아는가? 바로 Shitty(시티)라고 발음한다며 낄낄거린다(South Park라는 미국 성인 만화 영화의 한 에피소드)
필자가 좀 더 걱정스러운 것은 이러한 우리나라 소리규제에 대한 역작용이다. 국립국어연구원이 S sound를 우리말 ㅅ 소리에 해당한다고 표준을 정해 놓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남이섬'을 NamiSeom이라고 쓰고 알고 있다.
남이섬을 광고하는 곳에서도 이렇게 쓸 것이다.
결국 그 역효과는 남이섬을 남이썸으로 읽게 되는 것이다. 왜? 영어가 더 쿨하니까!
과거 중국어가 공용어였을 때는 우리가 얼마나 중국발음 따라하려고 노력했겠는가? 일제시대를 살았던 대부분의 우리 부모,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일본말을 할 줄 알았다. 이제는 영어다. 현실을 부정하지 말자.
문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표준에 대한 강박이다. 그리고 언어를 가지고 국민의 마음을 통제하고자 하는 일제시대의 전통을 이어받은 독재시대 마인드이다.
이렇게 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우리말을 할 때 입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도 말을 하기에 큰 무리가 없을 만큼 우리 언어가 단순화된다는 점 뿐이다. 그래서 복화술을 왠만하면 다 구사할 수 있고 음식을 입에 넣고도 이야기하는 문화가 우리 말의 다양함보다 더 중요하다는 말인가?
그와 더불어 그 역작용... 모든 된소리에 가까운 외국어 소리를 평음으로 강요하는 국립국어연구원의 패착은 먼 미래에 우리나라 말에서 된소리와 평소리의 구분이 사라지고 모든 소리가 된소리화 되어 국민의 마음이 아주 싸나와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발 이제 우리가 이룩한 민주사회의 당연한 문화로서 다양함을 인정하자. 영어 단어는 영어 원음에 가깝게 우리 말로 옮기고 프랑스 단어는 프랑스어 원음에 가깝게 우리 말로 옮기고... 그 소리가 우리 말 어느 소리와 가깝든 그 소리를 규제하지 말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말의 소리를 더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현재 우리 말에서 아래 아 소리나 '내'와 '네' 소리 구분이 어렵듯이 한 번 잃어버리게 된 소리를 다시 찾기는 정말 어렵다. 그렇다면 이제부터라도 외국에서 소리를 적극 받아들여 우리말을 일제 시대 이전의 진정 세상의 모든 소리를 나타낼 수 있었을 것 같은 그 다양한 소리가 가능한 언어로 복원시킬 궁리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