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22일 수요일

최악의 영화제목: 노 브레씽?? No Breathing 노 브리딩 vs No Breath 노 브레ㄸ

이제 곧 설 연휴이다. 연휴에는 의례 영화소비가 늘어나는 데 요새는 영화관보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 처럼 보인다. 뭐, 각자 취향에 따라 즐기면 되는 것이지...

그런데 연휴에 볼 만한 영화를 찾아보다가 눈에 거슬리던 영화가 하나 있어 오늘 소개해 보고자 한다.

그 영화는 바로바로 '노 브레씽'. 몇년 전 나온 무슨 수영대회 국가대표 이야기인데, 처음 제목을 듣자마자 필자는 자신의 귀를 의심했다.

노 브레씽, 어느 나라 말인가?

심지어 국어 연구원에 따른 표준 표기조차도 노 브레싱이다! 물론 이 표준 표기도 어이 없기는 마찬가지이지만... 이 표준 표기와도 그렇다고 영어의 발음을 제대로 옮겨놓은 것도 아닌 '노 브레씽'이라는 단어는 어디에서 왔을까?

이 글을 쓰며 혀를 차고 있자니 갑자기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에 있다는 '로텐다'홀이 생각난다. 미국 국회에 있는 돔 형식의 로비 Rotunda를 카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홀의 영어 발음은 '로턴더'이다. 그런데 우리 국회의 '로텐다'라는 말은 어디서 생겨난 것이란 말인가?

필자가 일본출처를 의심해서 뒤져봤는데, 일본에서 잘못 발음된 것이 들어온 것 같지도 않다. 그렇다면 짝퉁이 이름 살짝 바꾸듯이 우리가 이름을 바꾼 것은 아닐까? 바로 노 브레씽처럼?!

영어 표현을 살펴보면 Breathe 숨쉬다라는 동사는 두 가지 형태로 명사적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그 하나가 이 동사의 명사 Breath, 다른 하나가 이 동사의 현재진형형과 일치하는 명사형 변형 Breathing이다.

그런데 이 두 명사형의 발음이 달라진다는 데에서 오늘의 영화 제목의 문제점이 발생한 것 같다. 이 Breathe라는 동사의 발음을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가장 적절한 발음이 '브리드'정도 된다.

그런데 명사 Breath는 브레ㄸ(구글의 한글 자판이 ㄸ의 받침 표현을 허락하지 않아서 이렇게 표기됐음을 유념할 것)정도이다. 영화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는 브레쓰라고 표기할 것 같다.

마지막으로 Breathing은 동사에서 변형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브리딩이라고 읽는 것이 맞다.

그러니 오늘의 영화의 제목은 사실 두 가지 표현이 가능하다. 명사를 제목에 썼으면 No Breath 노 브레ㄸ! 일반적 표현을 존중해서 브레쓰! 심지어 국어원에서 주장하듯 브레스도 쳐주겠다.

반면 수영하고 있는 모습을 강조하고 싶어서 동사를 명사형으로 변형했으면 No Breathing 노 브리딩이라고 영화 제목을 지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 국립국어연구원이라는 곳에서 th는 무조건 'ㅅ'으로 표기하라는 표준령을 내린 것 같다.

그러니 Breath도 브레스 Breathing도 브레싱??

그런데 대중적으로는 자장면보다 짜장면이 더 많이 사용되듯이 영화는 대중화가 생명이니까 다시 브레씽!

이렇게 국어연구원도 싫어하고 영어 발음하고도 전혀 맞지 않는 영화제목이 탄생했다. 노 브레씽!! 그 옆에 영어 표현이라도 No Breathing라고 적지 않았다면 필자가 어떻게 이런 이상한 제목이 탄생했는지 추측하는 데 좀 더 시간이 걸렸을까?

지금 우리가 국회의 로턴더 아닌 로텐다를 보면서 의아해 하듯이 혹 나중에 누군가 이 영화제목을 보고 의아해하면 이 글을 보고 어떻게 우리 국어 표현이 국어 연구원에 의해서 망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길 바란다.

2020년 1월 10일 금요일

영어 한국어로 옮기기 7: Youtube 유튜브? vs 유투브!

요즈음 대세는 정말 동영상인 것 같다.

여전히 뉴스고 많이 읽고 소리만 듣는 포드캐스트도 여전하지만 Youtube 동영상만큼 Hot하게 이슈가 되는 일은 별로 없는 것 같으니 말이다.

성인은 물론이고 식당에 가서 키오스크로 주문하기도 어려워하는 노인분들이나 아직 ㄱㄴ도 다 띄지 못한 아이들도 Youtube를 보면서 즐거워하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하는 것을 보면 과거 파워블로거들이 이제 모두 동영상계로 옮긴 것은 아닌가 싶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필자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바로 Youtube를 한글로 어떻게 옮길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현재는 마치 '유튜브'가 바른 표기인 것처럼 여겨지는 것 같다. 왠만한 뉴스 표기나 방송국 앵커들이 유튜브 발음하느라 고생하는 것을 보면... 

심지어 왠만한 검색엔진 검색창에서 자동완성기능도 유튜브만 뜨는 것을 보면 누군가가 어디에선가 '유튜브'가 Youtube의 바른 표기라고 정해 버린 것은 아닐까? 

여보세요? 혹시 이것도 국어연구원이 한 일인가요??

사실 Youtube의 발음은 유튜브와 유투브 모두 바른 발음이다.

마치 우리 말에서 '맛있다'를 마시따로 발음하나 마디따로 발음하나 모두 표준발음인 것처럼 영어에서 Tube는 튜브로 발음할 수도 있고 투브로 발음해도 사전에 나오는 정상적인 발음이라는 소리이다. 

여기에서 필자가 영어에 대해 표준발음이라는 말을 쓰지 않는 이유는 영어에는 표준발음이라고 획일적으로 정해 놓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영국에서는 튜브라고 발음하고 미국에서는 투브라고 발음한다.

필자가 보기에 우리의 이 표준어, 표준발음 집착도 군사문화인 것 같은데... 여기까지 논의가 확대되면 이번 글이 산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다시 Youtube표기 문제로 돌아가기로 하자.

사실 Tube만 따로 발음할 때는 영국식으로 튜브로 발음하든 미국식으로 투브로 발음하든 한국인들에게 아무런 문제가 없다. 각자 좋을 대로 발음하면 되고... 이 경우 한글표기도 둘 다 허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이 Tube앞에 You가 붙으면 상황이 달라진다. 일단 영어로는 이 Youtube라는 단어가 2음절임을 알만한 사람은 다 알 것이다. 사실 2음절로 영어로 발음할 때도 유튭이든 유툽이든 별 차이가 없다. 발음하기 어려운 Tongue Twister는 아니란 말이다.

그러나 Youtube를 한글로 표기하면 3음절이 된다. 바로 이 순간 유튜브는 발음하기 어려워진다. 유투브가 훨씬 발음하기 편하다.

그러니까 Youtube를 영어로 발음할 때 유튜브도 가능하고 유투브도 좋다면 우리가 Youtube를 표기할 때 이 둘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겠느냐.... 하는 질문이 이번 글의 핵심이다.

여러분의 선택은?

필자의 선택은 당연히 유투브이다. 왜냐? 발음하기 편하니까!!

직접 발음해 보시라... 유튜브... 유투브!

정말 필자가 뉴스 앵커들이 유튜브 발음하다 실수해서 더들거리고 있는 꼴을 보자니 한심해서 한마디 적는다.

영어를 한국어로 옮길 때 당연히 해당 언어를 존중해야 겠지만 그 언어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편하게 발음할 수 있는 소리를 선택하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겠느냐 말이다!

이미 누누히 밝혔듯이 필자는 일반적으로 미국발음보다 영국발음을 선호한다. 그 이유가 바로 우리 발음체계에 영국발음이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특정 단어의 발음에 한해 미국식이 우리에게 편리하다면 당연히 미국 식 발음을 혼용하는 것도 좋다고 보는 것이다.

이 점 참고해서 앵커는 유투브로 발음을 편하게 하고 검색엔진은 누리꾼이 '유'를 치면 유투브도 자동완성기능에 추가해 줄 것을 제안한다.

지금부터 Youtube는 유투브로!!!

여기에서 한 가지 더 짚고 너어가자.... 그것은 우리가 왜 Youtube를 유튭이나 유툽으로 표기할 생각을 하지 않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Tube를 튭으로 발음하나 툽으로 발음하나 우리말로도 영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말이다. 

사실 우리가 유튭을 언급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이 '유튭에서 봤어', 아니면 '유툽에 올리자'와 같은 것이라서 결국 '유튜베서' 혹은 '유투베'로 발음하게 된다. 즉 ㅂ이 두번째 음절 종성으로 들어가서 지나치게 강한 P소리가 나는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별로 없다는 뜻이다.

재미있는 것은 Podcast와 같이 이렇게 뒷소리로 무성음이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ㄷ소리를 첫음절의 종성으로 표기하는 경우 지나치게 강한 무성음 소리가 나는 것을 걱정해야 하는 케이스에서는 오히려 과감하게 폳캐스트(팓캐스트)라고 쓴다는 것이다.

소리의 관점에서만 볼 때 Podcast는 포드캐스트로 표기하는 것이 맞고 Youtube는 유튭(유툽)으로 써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본다.

물론 Podcast를 포드캐스트로 표기하는 경우 한 음절이 늘어나기 때문에 불편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그 해결책으로 폳캐스트도 가능하다고 본다. 하지만 '폳캣ㅌ'으로 종성에 이중자음 ㅅㅌ을 동시 표기하면 역시 영어처럼 두음절만으로 표기를 편리하게 끝낼 수도 있다고 나는 생각하는데...

여러분의 선택은???

사람들이 블로그나 페이스북을 즐겨 썼던 당시 그 대항마로 젊은 세대 사이에서 트위터가 떴는데, 요새도 비교적 긴 동영상이 많은 유투브의 대항마로 아주 짧은 영상만 올릴 수 있는 플랫폼이 뜨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유투브의 전성시대가 언제까지 갈지는 모르겠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동안만이라도 편하게 발음할 권리가 우리에게 있다고 본다.

유투브? vs 유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