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13일 일요일

요새 우리가 영어를 너무 많이 쓴다고 한다. 한자어는??

우리 사회에서 영어가 너무 범람한다며 비판하는 목소리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러나 외국어를 과다 사용하는 것이 한 나라의 말을 오염시키는 것이 맞다면, 우리말에 오염원이 영어만 있을까? 이에 대한 생각은 부족해 보인다.
 
우리말을 비롯해서 한국문화 관련 단체들이 영어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고 하면서 영어를 무조건 한자어로 바꾸려고 하는 노력이 과연 우리말을 지키는 방식인지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았으면 좋겠다.

특히 '고니'와 같이 한글로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말도 '백조'와 같은 한자어로, 그것도 굳이 일본에서 번역된 일본식 한자어로 사용하면서 이 단어는 영어가 아니니 우리말을 지키는 데 내가 일조했다고 위안하는 것이 과연 옳을까??

더 나아가, dragon-slayer를 '멸롱마도사'로 hypothalamus를 '시상하부'로 번역하기만 하면 무엇하는가 말이다. 한자어 보다 영어가 훨씬 더 알아듣기 쉽거나 한자어나 영어나 똑같이 무슨 말인지 모를 땐, 차라리 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사실 이렇게 영어를 무슨말인지 모를 한자어로 번역하는 것이 특히 우리나라 학계의 관습처럼 보인다. 왜 우리말로 번역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을까?? 

요새 유행하고 있는 flipped class는 다행히 방송사에서 먼저 단어를 번역하면서 '거꾸로 교실'이라는 우리말을 포함한 번역어가 탄생했다. '교실'이란 한자어도 일반적으로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의 어려운 한자어가 아니니 우리나라의 한자어 번역 시스템에서는 그나마 괜찮은 번역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역시, 일부에서는 이 단어를 '역진행 수업'이라는 완전한 한자어로 번역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한자어 번역 사랑은 과연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내가 볼 때, 최소 학계에서 외국어를 굳이 한자어만으로 번역하려는 경향은 우리나라 법전처럼 보통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하게 만들어서 자기들의 특권을 쌓으려는 의도가 있다는 의심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마치 의사들이 처방전 흘겨쓰는 것과 너무 유사하지 않은가?

그래서 다음에는 필자가 생각하는 영어 번역지침을 한 번 세워보았다. 한글 혹은 한국어 단체를 비롯해 우리 말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이 함께 고민해 봤으면 좋겠다.

1.  영어 단어를 그대로 쓰는 것이 좋지 않다면 이에 대한 번역어를 한자와 동시에 한글로 번역한다.

한글로만 번역해도 좋겠지만 워낙 한자어가 표의어라고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서 한자어 번역도 동시에 허락하고자 한다. 단 이를 위해서 사전 작업이 필요하다.

1) 현재 사용되는 한자어 중 일본식 한자어를 가려내어 폐기한다. 

간단히 생각해 보아도 조선시대 우리가 사용한 한자어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물론 시대가 변했고 사회체제가 변해서 사용하는 표현도 변하는 것이 맞지만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대다수의 한자어가 일본식이라는 점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필자가 추측하기에 한 70%정도 되지 않을까??

따라서 현재 일본식 한자어들을 대체하는 한국식 한자어를 만들거나 중국식 한자어를 도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본다. 

만일 기존에 사용하던 한자어인데 불편하게 모두 바꾸기 싫다거나 혹 영어만 아니면 일본식 한자어도 문제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필자가 보기에 이 경우는 영어 단어를 섞어 쓰는 것이 한국어 오염이라는 전제 자체를 어불성설로 만드는 주장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본식 한자어가 괜찮은데 영어 단어는 뭐가 어때서???

(중국식 한자어는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와서 한국어와 동일취급할 수 있다고 백번 양보하더라도 말이다. 물론 필자는 이에 의문을 가지고 있지만... 한자어가 일반 대중에게 익숙하고 한글로 쓰더라도 음절 수 면에서 절약적인 것은 사실이니까 넘어 가 줄 수 있다고 치자!)

2. 모든 한자어의 뜻을 한글로 만든다. 

예를 들어 '국민'의 뜻을 써보면 '나라의 백성'이다. 한자어 '민'의 뜻은 '백성'으로 한자어의 뜻조차 한자어인 경우이다. 우리 말의 80%이상이 한자어임을 실감할 수 있는 현실이다.

사실 필자는 인디언의 이름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 예를 들어, '늑대와 춤을'이나 '주먹쥐고 일어나'와 같은 이름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사실 너무 좋고 발음도 쉽다. 왜 한국인들은 이렇게 이름을 짓지 않을까? 

한국인에게 이런 뜻으로 이름을 지으라고 하면 굳이 '낭무'나 '권기'로 지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하지 않고 순순한 한글로 이름을 지은 다음, 좀 길면 첫번째 이름을 가진 사람에게 애칭으로 '와춤'이라고 지어주고 두번째 이름은 '주먹'이라고 애칭을 지어주는 것은 어떨까? 

아무튼 모든 한자어로 번역한 영어 단어에는 한글 번역 본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 내 주장이다. 그래야 진정 우리 나라 말이 살지 않을까? 

더 나아가 영어 단어를 번역한 한자어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부터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한자어(일본식 한자어는 폐기할 것이니까 빼고!)에 우리말 뜻풀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한자를 모르는 사람도 우리말만으로 충분히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굳이 이럴 필요가 있냐고 따진다면 나는 굳이 번역을 할 필요가 있느냐며... 영어 원어 그대로 쓰자고 주장할 것이다. 마치 우리 선조들이 과거에 중국 한자를 원어 그대로 사용하여 우리 말의 80%를 이루고 있듯이 말이다. 전통 수호!


댓글 없음:

댓글 쓰기